본문 바로가기

수필/컬럼/컬럼

'박근혜 정부"에 바라는 도서관 정책

도서관은 아직도 그늘인가

금년 2월에 출범할 새 정부의 도서관에 대한 정책이 무엇인지 궁금하여 인터넷에 있는 새누리당 대선공약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공약집에는 도서관이라는 말이 단 한 줄도 보이지 않았다. 우리나라에 각종 도서관이 교육과 사회문화의 인프라로서 이미 자리매김이 되어 있다면 공약에서 굳이 언급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도서관은 아직 도서관의 본질적 기능과 사회적 역할을 다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공약을 훑어본 후 대학입시에 낙방한 것만큼이나 씁쓸한 허전함이 가슴에 남았다.

도서관의 본질적 목적은

알려진 바와 같이 도서관의 본질적 목적은 공식교육의 보완과 평생교육의 진작, 그리고 정보문화 발전의 기반으로서 시민사회에 교육과 문화의 장을 충분하게 제공하는 데 있다. 도서관은 책과 정보자료를 각기 그 도서관의 목적에 알맞게 개발 보존하면서 각종 프로그램을 통하여 시민 모두에게 세계문화를 체험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그런데 이 목적이 너무나 거창해서인지 우리 도서관들은 아직 역부족이다. 인력과 예산이 체계적으로 운영되지 않아 사서들은 임시직, 비정규직, 계약직 등 저임금과 고용불안에 내몰리고 있다. 건물과 시설도 임시방편적이어서 열악하기 짝이 없는 도서관이 많다. 일전에 SBS에서 “사라지는 공공도서 100만권 어디에?”라는 보도가 있었다. 이 기사는 서울 교육청산하 22곳에서 최근 5년 동안 150만권의 책을 구입했는데 실제 소장도서는 43만권에 불과하다고 했다. 어떤 폐기기준에서 100만권이 폐기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는 보존 서고 등 시설의 빈약과 국가적인 도서관의 보존정책 빈곤이 낳은 결과가 아닌가 싶다.

 

도서관 안팎의 관료주의 몰아내야

도서관은 언제나 주역이 아닌 보조역에 머물러 있다. 도서관의 주인은 국민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도서관의 정책과 예산을 좌우하는 정부부처와 모 기관이 배후에 존재하면서 도서관을 보호하기도 하고 도서관을 격하시키기도 한다. 그래서 정부가 바뀔 때마다 또는 장관이나 상위부서가 바뀔 때마다 도서관은 그들의 정책마인드에 따라 좌우된다. 도서관도 관료주의의 지배하에 있기 때문에 관료주의의 역기능을 그대로 떠안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국민에게 제대로 된 도서관을 돌려주려 한다면 도서관의 외부와 내부의 관료주의는 이제 거두어들여야 한다. 도서관의 정책은 국가의 중요한 교육과 문화정책이다. 교육과 문화정책은 정부가 바뀔 때마다 개선되고 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 정부 수립이후 60여 년간 이루지 못하고 있는 도서관정책부서의 통일도 새 정부에서 해결해 주었으면 좋겠다. 문화체육관광부든 교육과학기술부든 국가전체의 도서관정책이 일관성을 가지고 추진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주어야 한다.

 

도서관을 사서와 시민에게 돌려줘야

도관은 결국 시민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모든 도서관을 시민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도서관의 경영과 시민 서비스는 전문성을 갖춘 사서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정부는 일관성 있는 도서관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도서관의 시설을 쾌적하게 유지하며, 자료는 충분히 개발 보존하고, 프로그램은 균형 있게 개발 실행할 수 있도록 정규직 전문 인력과 예산을 좀 더 지원해야 한다. 전국의 모든 도서관은 전국구도서관으로서 지역을 초월하여 모든 국민에게 서비스를 개방해야 한다. 새 정부는 더 이상 파행적 도서관, 본질을 모르는 도서관이 나오지 않도록 정책방향을 잘 잡아주시길 희망한다. (글 이종권, 월간 라이브러리 & 리브로 2013년 2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