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문/저서/논문

“우리나라 사서직의 평생교육 체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 제6집(2006. 12). 성균관대학교 정보관리연구소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우리나라에서 문헌정보학 교육이 시작된 지도 반세기가 지났다.1) 한국 문헌정보학 50여년의 역사는 인접 학문계열의 다른 분야, 이를테면 신문방송학(1954년 홍익대)이나(한국언론학회 2003,50) 컴퓨터과학(1970년 숭실대)에2) 비하여 결코 짧지 않은 교육사라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도서관직의 전문성을 다른 전문분야만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인식은 도서관의 밖에서는 물론, 도서관 내부에서도 흔히 거론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부정적 평가들은 과학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다분히 인상적인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인상적인 평가는 시민과 이용자 및 도서관 직원들의 도서관에 대한 체험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도서관 서비스 향상에 있어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요소라 하겠다. 

  또 한편으로는 50여년의 문헌정보학 교육사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도서관의 전문성 즉 사서직의 전문성을 논해야 한다는 사실 그 자체가 한국문헌정보학 교육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문헌정보학 교육의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기는 대단히 어렵고 복잡한 일이다. 또한 지난  50여 년 동안 문헌정보학자들은 한국문헌정보학의 이론적 체계화에 꾸준히 노력해 왔으며 실무 도서관인들도 새로운 정보기술발전에 부응하여 지식기반 정보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실천적 노력을 꾸준히 전개하여 왔다. 따라서 과거의 교육에 대한 평가는 선임자들의 업적을 평가절하 할 소지가 있어 매우 조심스러운 부분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재 사회 전반적으로 다른 분야에 비하여 낙후되어 있는 도서관에 대한 전문성 인식을 제고하고, 보다 만족스럽고 내실 있는 도서관 경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미래지향적 차원에서 한국 문헌정보학 교육체계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대안을 찾는 일이 이시대의 문헌정보학 연구자에게 주어진 필수적 과제라고 생각된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 문헌정보학 교육체계의 현황 분석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학 이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제도와 문헌정보학 교육체계를 유치원에서 대학원 및 사회교육에 이르기까지 전 단계에 걸쳐 분석하고 한국문헌정보학의 평생교육체계를 설계함으로써 향후 각 단계별 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에 체계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1957년 연세대학교 도서관학과의 창립을 우리 문헌정보학교육의 시작으로 본다면 서기 2007년에 한국 문헌정보학 교육 50주년을 맞는다.


 

2) http://www.ssu.ac.kr 숭실대학교 연혁 ‘1970 국내 최초로 전자계산학과 창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