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을 나온 수탉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을 읽어 보셨나요? 양계장에서 알 낳기 봉사만 하다가 생산성이 별로 없게 되자 주인에게 버림받은 암탉 이야기지요. 그러나 암탉은 폐기처분장 구덩이에서 한 오리의 도움으로 구사일생으로 살아나 자유의 몸이 되었는데요, 전에 닭장에 갇혀 있을 때 부러워하고 소망하던 일, 알을 품어 엄마가 되고 싶은 소망을 이룰 수 있겠다는 희망을 갖지요. 그런데 또 장애물이 많이 생기네요. 먹이도, 잠잘 곳도 없어 뜨내기로 먹고 살아야 하는데 가는 곳 마다 다른 친구들, 수탉, 다른 암탉, 다른 오리, 개에게 멸시를 당하고 쫓겨나지요. 족제비에게 잡아먹힐까봐 불안한 야외생활의 나날, 그래도 암탉은 희망을 포기하지 않아요. 암탉은 스스로 자기 이름을 잎싹이라고 지어요. 그러면서 엄마가 되기 위해 온갖 궁리를 다하다가 찔레 덤불 아래에서 하얀 알을 발견하고는 그 알을 품어요. 그 알이 깰 때까지 품고 있지요. 알을 품는 동안 생명의 은인 오리가 저수지에서 고기를 잡아다가 대령하지요. 그러다가 드디어 알이 부화했는데 오리였어요. 저는 그 알이 찔레 덤불에 있다기에 뱀의 알일까 봐 은근히 걱정을 했는데 참 다행이네요. 암탉이 오리 알을 품고 있었던 거네요. 그래도 암탉은 전혀 실망하지 않아요. 오리 아기도 암탉을 엄마라고 부르고. 암탉은 그렇게 소망하던 엄마가 되었어요. 그런데 또 살아갈 앞길이 순탄하지가 않네요. 주인댁으로 다시 들어가 다른 이웃들과 더불어 살아보려 하지만 그 마당의 가족들은 반겨주기는 커녕 비난과 멸시로 가득한 가축적인 사회분위기, 정말 인간들과 똑 닮았네요. 작가가 인간들의 인간답지 못한 모습을 닭에 빗대어 그린 것 같아요. 암탉의 운명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궁금하시죠? 책 내용을 다 말해 주는 건 책 소개가 아니라네요. 책을 정말 읽고 싶도록 유도하는 것이 사서의 역할이라네요.
저는 이제 ‘마당을 나온 수탉’도 좀 생각해 보고 싶네요. 사실 수탉은 양계장에 감금되어 살 일은 거의 없지요. 알을 낳지 못하니까요. 그러나 수탉이 없으면 병아리가 탄생될 수 없어요. 수탉은 아빠니까요. 세상에 아빠 없는 아기는 없거든요. 그래서 수탉은 알을 직접 낳지는 못하지만 암탉이 알을 밸 때 알에다 생명을 넣어주지요. 수탉은 병아리의 제 1차 프로듀서랍니다. 수탉은 지놈인가 게놈인가 하는 병아리 유전자를 가지고 암탉과 협업하여 귀여운 병아리를 만든답니다. 그러나 그 후 병아리를 기르는 수고는 암탉이 더 많이 하지요. 사람도 엄마가 ‘나실 때 괴로움 다 잊으시고’ 살가운 고생을 더 많이 하듯이 말이죠. 알을 낳는 수고, 둥지에서 장기간 알을 품는 수고, 병아리가 알을 깨고 나오려할 때 밖에서 껍질을 깨주는 산파의 수고도 암탉 스스로 다 한답니다. 엄마는 강해요. 여자는 약하나 엄마는 강하다는 말이 닭에도 해당되네요. 암탉에 비하면 수탉은 참 무심하고 무책임하지요. 유전자만 덥석 제공했을 뿐 아무 일도 안하면서 자기만 먹고 돌아다니며 삼시 세끼 노래나 부르는 한량이지요. 하하. 딴엔 병아리 제1 프로듀서의 역할이 제일 크고 중요하다는 걸 웅변으로 유세(遊說)하고 다니는 것 같아요. 수탉은 일을 열심히 하지 않는데도 암탉보다 큰 벼슬을 달고 다니지요. 벼슬이라는 말은 닭 벼슬에서 나왔나 보네요. 벼슬아치들. 그런데 인간세상도 그 벼슬아치들이 잘 해야 평화롭지요. 하하. 저는 이런 소재들을 가지고 <마당을 나온 수탉>이라는 짝퉁 소설을 한번 써 볼까 생각중이에요. 그런데 저도 태생이 수탉과 비슷한 아빠라서 그 소설을 언제 완성할지는 잘 모르겠네요. 하하. 2016. 10.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