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가釋迦는 인도 Śākya족의 한자 음역. 석존釋尊은 석가세존을 줄인말
석가모니 : Śākyamuni 불교의 교조(敎祖). 능인적묵(能仁寂黙)이라 번역. 석가문(釋迦文)ㆍ석가(釋迦)라고도 약칭. 석가는 종족 이름, 석가모니라 함은 석가씨의 성자(聖者)란 뜻(불교사전)
석전釋奠은 산천이나 공자를 모신 문묘(文廟) 등에 제사를 올리는 의식
석전제, 석채(釋菜), 상정제(上丁祭), 정제(丁祭)라고도 한다. 정제, 상정제라고 한 것은 음력 2월과 8월의 상정일(上丁日:첫 丁日)에 행해졌기 때문이다. 석전은 <예기>의 왕제(王制) 문왕세자편(文王世子篇)에 나오는 말로 석(釋)은 '놓다'[舍也], '두다'[置也]의 뜻이고 전(奠)은 '그치다'[停也]의 뜻으로 처음에는 소박하게 채소만 놓고 제사를 지내다가, 뒤에 고기와 과일 등 여러 가지 음식을 장만했다. 중국에서는 이미 주대(周代)부터 순(舜)·우(禹)·탕(湯)·문왕(文王) 등 여러 성인들에게 석전을 올렸으며, 한(漢)나라 이후 유교를 숭상하면서 공자(孔子)를 제사하는 의식으로 굳어졌다.(다음백과사전)
'문헌정보학교실 >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 대통령의 정신 (0) | 2011.11.04 |
---|---|
안국동 충청도집 (0) | 2011.11.04 |
2011 전국 도서관 운영평가 결과 발표 (0) | 2011.10.14 |
국제 종교자유 보고서 (0) | 2011.09.22 |
서울대 학생을 위한 권장도서 100선 (0) | 2011.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