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정보학이란 무엇인가, 이제 4번째 개정에 들어갑니다.
개정 4판 서문
정보사회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전통사회에서도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 말이 있었는데, 오늘 같은 정보사회는 1년이 다르게, 그것도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변화의 속도가 빠르다 해도 인류문명의 뿌리가 송두리째 변하는 건 아니라는 데서 우리는 정신을 차릴 수 있습니다.
필자가 문헌정보학에 입문한 지 벌써 35년, 그리고 이 책 초판을 낸 지도 12년이 지났습니다. 2008년과 2012년 두 차례 개정했지만, 그 후 또 7년이 지나니 새로운 세대에 알맞게 개정할 필요성이 절실해졌습니다. 이 책은 문헌정보학에 뜻을 품는 신세대 독자들의 꾸준한 관심으로 12년 이상 장수를 누리고 있습니다. 절판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이번 개정에서도 책의 기본적인 역사적 골격은 유지하면서 우리 사회 도서관 및 문헌정보학계의 변화를 대폭 담았습니다. 1장부터 5장까지는 그간의 우리 도서관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여 적절히 가감하였으며, 6장과 7장은 완전 새로운 내용으로 교체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이 책이 한국문헌정보학의 문을 여는 좋은 열쇠가 되기를 기원해봅니다.
목차
제1장 문헌정보학의 탄생
1. 문명의 탄생과 도서관
2. 언어의 발달과 도서관
3. 미디어의 발달과 도서관
4. 문맹과 리터러시
5. 디지털 콘텐츠와 도서관
6. 문헌정보학의 의미와 유용성
제2장 도서관, 문명의 산실
1. 세계최초의 도서관 아슈르바니팔도서관
2. 헬레니즘문화의 산실 알렉산드리아도서관
3. 인쇄 출판과 문명전파
4. 우리 옛 도서관 기행
5. 도서관의 철학과 원리
제3장 우리나라 도서관의 종류와 현황
1. 국립중앙도서관
2. 국회도서관
3. 법원도서관
4. 공공도서관
5. 대학도서관
6. 학교도서관
7. 전문도서관
제4장 문헌정보학 전공 교과목 개요
문헌정보학 개론
도서관정보센터경영론
서지학 개론
자료선택구성론
정보봉사론
정보검색론
정보조직론(목록론)
정보조직론(분류론)
도서관및인쇄사
고전자료의 이해
고전자료 조직론
한국서지
공공도서관운영론(경영론)
대학도서관경영론
특수도서관경영론
학교도서관운영론(경영론)
인문과학정보원
사회과학정보원
자료이용법
독서지도론
연구방법론
정보사회론
도서관정보시스템론
멀티미디어정보론
문헌데이터베이스론
색인초록법
연속간행물관리론
정보네트워크
정보처리
정보처리시스템분석론
정보커뮤니케이션론
출판저작권
문서관리
기록보존자료관리
제5장 우리나라 문헌정보학 교육
1. 한국문헌정보학 교육의 역사와 교육기관
2. 우리 문헌정보학 교육체계 개선방안
3. 문헌정보학 관련 협회, 학회
4. 문헌정보학 관련 유용한 기관 및 사이트
5.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진로
제6장 도서관과 출판의 역사와 미래
1.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의 본질과 역할변화
2. 역사에서 찾은 도서관의 가치와 사서직의 위상
3. 출판과 도서관의 문명사적 역할
제7장 도서관 정책칼럼
1. 인, 물, 금의 조화
2. 서서들의 전문성과 인간성
3. 도서관의 공부방 딜레마
4. 도서관과 평생교육, 그 이상과 현실
5. 인간적 도서관의 꿈
6. 도서관과 책의 위상, 그리고 ‘책 방송’
7. 실사구시의 도서관
8. 정부에 바라는 도서관 정책
9. 도서관장 보임의 이론과 실제
10. 불기도서관
11. 도서관의 정도와 정책
12. 도서관의 자격
13. 도서관을 넘어서
제8장 나의 문헌정보학적 세상 읽기
1, 교육의 뿌리 가정
2. 교과서박물관
3. 발표 공포증
4. 삶의 공식
5. 밤의 창조력
6. 생활 지리 도서관